열선 내장 발열 장갑
겨울철에 두툼한 장갑을 끼면 한겨울 손은 안시린데,
문제는 세밀한 작업이나 기계조작을 해야한다면
결국 장갑이 두터워서 벗을 수밖에 없겠죠...
제 경우에는 사진을 찍을 때 아주 추운 날에는 손이 꼽아서,
카메라 조작이 힘들 때가 많습니다..
그래서 밧데리를 이용한 보온장갑의 필요성을 느끼게 될 것 같아
한번 시도를 해 봤읍니다.
일단 비교적 신축력이 좋고 얇은 장갑을 선정했읍니다..
열선 제조 회사이므로 이에 적합한 열선으로 설계를 해서 그에 합당한 선재를 사용해서 "신선(선을 가늘게 늘리는 작업)"을 하고 열처리를 해서 선재를 부드럽게 한다음에 "집합기"로 7가닥을 전선 꼬듯이 꼬아서,실리콘고무로 피복을 했읍니다.
그리고 안 쓰는 핸드폰에서 뺀 "리튬포리머 충전용 밧데리"와 가장 적은 사이즈의 "연결짹"을 준비했습니다.
우선 예전에 "고무장갑 자동화 Sysyem개발"을 위해 의뢰가 들어 올 때 샘플용으로 들어 온
"쎄라믹 장갑 몰드"에 잡갑을 끼우고,
열량에 맞게 절단한 열선을 순간접착제로 붙였읍니다.
(이때 손가락 옆면을 의주로 돌리고 남은 기장은 손등으로 돌려 놓음)
방수용 쿠킹용 "실리콘고무"로 주변을 바르고 건조시켜 군힘
밧데리는 연결짹(적색)을 붙이고 고무수축튜브로 고정시키고,
그위에 "직찍이"를 돌려서 붙임
***************
밧데리도 짹을 연결하여 밧데리가 부착될 수 있도록 찍찍이를 붙였습니다.
열선을 붙인 부분을 안쪽으로 가게 뒤집고,
열선을 밖으로 빼서 짹을 연결함
손목에는 밧데리를 붙 일수 있게 찍찍이를 붙임
밧데리를 장착한 모습
(이건 언더장갑으로 이 위에 다가 멋지고 예쁜 방한 장갑을 끼면 됩니다.)
장갑내부에 온도테스트를 위한 설치
손가락 부위가 40도가 나오는게 보이죠???
(이 위에 보온장갑을 덧 씌우면 열은 더 나겠죠???)
이걸 끼고 대둔산등정을 해 보았는데,
밧데리 용량이 700mA 정도 뿐이 안 되어서
히팅시간이 불가 20분정도 뿐이 안되는 군요..
'│ 기타 제작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리콘 히터가 들어가는 제품들... (0) | 2019.10.18 |
---|---|
히터 패드 제작 (0) | 2017.12.06 |
열선 내장형 보온 장갑 (개선) (0) | 2017.07.13 |
낫도(청국장) 발효기 제조 (0) | 2017.07.13 |
부츠 히터 제작 (0) | 2017.07.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