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소개 및 H.P'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회사 소개 및 연혁  (0) 2019.10.10
화성시 기업 디렉토리북 개재  (0) 2019.10.10
- Home Page- ssanghee co., ltd   (0) 2019.07.18
(주) 쌍희 - 회사 전경  (0) 2017.07.13

실리콘 열선

( SILICON HEATER WIRE )

외부에 피복되어 있는 실리콘고무 (MAX,200℃사용)는 절연체로서 역활도 하지만,

열전달이 좋은 재질이 섞여있어서, 외부로 열방출이 어떤 실리콘고무보다 월등하며,

일반 실리콘고무보다 질깁니다. 

열선 종류

 

문의 사항은 "이종간: 010-8424-0323 (화성공장 : 031-434-0323,영업부: 031-434-0322) 으로 연락주세요.

(소진된 제품은 대량 오더가 없으면 추가로 재생산은 안합니다.

그러나 수시로 새로운 제품을 올리고 있습니다.)

어떤 제품으로 선정할지 모르면

글 맨 아래 계산 방법이나 참고 문헌에"☜ 크릭"이라고 표시된 글 제목을 참고해서 계산해 보세요.

그래도 모르겠다면,

인터넷 등에서 유사한 제품들을 비교하여 아래 세가지 조건을 정한 후에 문의주세요.

1.사용전압 (V) 2. 전 력 량 (W) 3.설치기장 (M) 

~~~~~~~~~~~~~~~~~~~~~~~~~~~~~~~~~~~~~~~~~~~~

가. SR-계열

단순히 열선에 실리콘 고무 피복(적색)을 한 제품으로 외경을 다른 제품보다 가늘게 제작 가능하며,

저렴한 실리콘히터 입니다. 

SR-N200,201
SR-N2

 

SR계열 구조도

1가닥의 열선 또는 여러가닥의 열선을 집합하여 꼬운 후에 백색,회색,적색등의 실리콘고무를 피복해 놓은 열선임.

가장 기본적인 열선으로 가격이 저렴하며, 물에 강하고, 최고 250℃ (추천온도: 200 ℃)에 까지 사용가능한 열선이나,

피복재인 실리콘고무가 질기지 않은게 단점이다.

~~~~~~~~~~~~~~~~~~~~~~~~~~~~~~~~~~~~~~~~~~~~~~~~~~~

* 각 제품에 따른 제원  가격은 아래표를 참조바람.

( TeL: 031-434-0322  : 재고는 수시로 파악하여 수정되지만, 발주 전에 재고 확인 바랍니다.

 Mobile: 010-8424-0323: 기술 문의는 언제든지 환영합니다.)

 

* 가격 및 제원 *

  1. 2. 3. 4. 5. 6.
품목 SR-CNa2  SR-N201 SR-CN3 SR-CNb2  SR-N200 SR-CNc2 
재질 CN-W2 Nickel CN-W3 CN-W2 Nickel CN-W2
선경(Ømm) 0.16 X 5연선 0.13 X 7연선 0.135X7연선 0.2 X 7연선 0.12 X 7연선 0.17 X 7연선
외경(Ømm) 1.5(백색) 0.8(적색) 1.5(적색) 1.4(백색) 0.8(적색) 1.4(백색)
저항(Ω/M) 1.01 1.14 1.3 1.34 1.39 1.58
30m 12,500 - 20m: 10,000 14,000   14,000
40m 16,000 -   18,000 18,000
50m 19,500 14,500   22,000   22,000
100m 37,000 27,000   42,000 42,000
150m 54,500 39,500 이 제품은 1개 뿐 입니다. 62,000   62,000

 

  7. 8. 9. 10. 11. 12.
품목 SR-CNd2  SR-CN2 SR-N2 SR-Na1 SR-N1 SR-Na2
재질 CN-W2 CN-W2 NCH-W2 NCH-W1 NCH-W1 NCH-W2
선경(Ømm) 0.16 X 7연선 0.12 X 7연선 0.15 X 7연선 0.13 X 7연선 0.117 X 7연선  0.13 X 5연선
외경(Ømm) 1.3(백색) 1.4(백색) 2.0(적,회색) 1.2(백색) 1.6(적색) 1.4 (백색)
저항(Ω/M) 2.14 3.58 9.67 11.97 15.1 17.4
30m 12,800 13,100 15,500 14,000   14,900
40m 16,400 16,800 20,000 18,000 19,200
50m 18,200 20.500 24,500 22,000   23,500
100m 38,000 39,000 47,000 42,000 45,000
150m 56,000 57,500 69,500 62,000   66,500

* 운송비는 착불 지급입니다. 

* 주문제작시 최소 물량은 사이즈에 따라 2,000m~5,000m 입니다.      

~~~~~~~~~~~~~~~~~~~~~~~~~~~~~~~~~~~~~~~~~~~~~~~~~~~ 

나. GR-계열

GR-N1
GR-N2

GR계열 구조도

Grass횡권 (2중) + Grass편조+ 실리콘 고무 피복(적색)

열선이 발열되기 시작하면 도달 온도까지 순간적인 고열에 의해 실리콘고무는 타기 마련인데,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열선과 실리콘고무피복 사이에 Grass섬유사로 횡권,편조를 하여 피복을 더 한 것이다. 그로인해 SR- 계열보다 피복이 쉽게 안벗겨지지만 가격이 비싼에 단점이다.

~~~~~~~~~~~~~~~~~~~~~~~~~~~~~~~~~~~~~~~~~~~~~~~~~~~

* 각 제품에 따른 제원  가격은 아래표를 참조바람.

( TeL: 031-434-0322  : 재고는 수시로 파악하여 수정되지만, 발주 전에 재고 확인 바랍니다.

 Mobile: 010-8424-0323: 기술 문의는 언제든지 환영합니다.)

 

* 가격 및 제원*

  1. 2. 3. 4.    
품목 GR-AL GR-CN2 GR- N1 GR-N2    
재질 ALUMEL CN-W2 NCH-W1 NCH-W2    
선경(Ømm) 0.2 X 7연선 0.16 X 7연선 0.22X 7연선 0.15 X 7연선    
외경(Ømm) 2.3(백색) 2.6(백색) 2.2(백색) 2.3(적색)    
저항(Ω/M) 1.27 2.0 4.02 9.67    
30m 22,400 21,500 27.500 17.000    
40m 29,200 28,000 36,000 22,000    
50m 36,000 34,500 44,500 27,000    
100m 70,000 67,000 87,000 52,000    
150m 122,000 99,500 129,500 77,000  

* 운송비는 착불지급입니다. 

* 주문제작시 최소 물량은 사이즈에 따라 2,000m~5,000m 입니다.  

~~~~~~~~~~~~~~~~~~~~~~~~~~~~~~~~~~~~~~~~~~~~~~~~~~

다.GCSR-계열

 

GCSR계열 구조도

 

저항을 높이기 위해서 Grass섬유에 열선을 Coilling하여 실리콘고무로 피복하였기에 비교적 높은 저항용으로 제작된 것으로 열선길이를 짧게 사용할 수 있어서 경제적이다. 다만 고전압으로 저열량을 발생시키고자 할 때 사용해야지 열선자체가 가늘어서 고열량을 내기에는 무리가 있다.

~~~~~~~~~~~~~~~~~~~~~~~~~~~~~~~~~~~~~~~~~~~~~~~~~~~

* 각 제품에 따른 제원  가격은 아래표를 참조바람.

( TeL: 031-434-0322  : 재고는 수시로 파악하여 수정되지만, 발주 전에 재고 확인 바랍니다.

 Mobile: 010-8424-0323: 기술 문의는 언제든지 환영합니다.)

* 가격 및 제원*

  1. 2. 3. 4.    
품목 GCSR-CN2  GCSR-N2  GCSR-Na  GCSR-N1     
재질 CN-W2 NCH-W2 NCH-W2 NCH-W1    
선경(Ømm) 0.22Φ 코일 0.14Φ 코일 0.06Φ 코일 0.056Φ 코일    
외경(Ømm) 3.0 2.4 2.2 2.5    
저항(Ω/M) 19.2 150 790  1,200    
30m     17,000 20,000    
40m     22,000 26,000    
50m (재고 소진 됨) (재고 소진 됨) 27,000 32,000    
100m     52,000 62,000    
150m 2,000m 이상 제작시 가능 "G/Bc-160"으로 대채 가능. 77,000 92,000    

* 운송비는 착불지급입니다. 

* 주문제작시 최소 물량은 사이즈에 따라 2,000m~5,000m 입니다.  

 

라. GCGR-계열

 

*상기 Bobbin(실패)에 감긴 양은 50M입니다.

 

GCGR 구조도

코일열선(GC 계열) 단자 체결 방법

http://blog.daum.net/ssanghee0320/45 (☜ 크릭)

 

1. GCGR-N1

(NCH-W1 0.13Φmm 코일)

 

품  목 : GCGR-N1

 

구  성 :

   재  질 : NCH-W1

                 (선경: 0.13 Ømm X 코일 )

   피  복 : Glass사+열선 Coil+그라스횡권+실리콘바니싱+그라스편조+실리콘 바니싱+실리콘 고무(적색)

   저  항 : 200 Ω/M

   외  경 : 3.00 Ømm

   특  성 : 220V에서 열선을 짧게 사용하기 위한 열선이기에 열선의 발열온도가 높게 나옵니다.

                그래서 GCSR 보다 더 많은 피복(열선외부에 그라스횡권과 그라스 피복 추가)을 하여,

                고온에도 견딜수 있게 제작되었읍니다.

 

가 격 :

    15M : 17,000원 

   20M : 22,000원

   30M : 32,000원 

   50M : 52,000원   (65m: 67,000원)

   80M : 82,000원

  100M: 102,000원

   *운송비는 착불 지급입니다.

~~~~~~~~~~~~~~~~~~~~~~~~~~~~~~~~~~~~~~~~~~~

마. 무자계 열선

열선에 전기를 넣게 되면 우리 몸에 해로운 자기장파가 발생되는데,

이를 해소하기 위한 열선이 "무자계열선"입니다.

무자계열선 계열 구조도

외경 4.0Φmm ( 7.4 Ω/m 또는 7.6 Ω/m )

 

석도금동선(연선)+테프론 피복+열선+실리콘 고무(적색) 피복

무자계 열선(7.40Ω/m) 체결시 소모 전력 :

1. 열선 25M에 220V 체결시: 약 260W/Hr.

2. 열선 15M에 220V 체결시: 약 435W/Hr.

짧을수록 열량이 많이 나옵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아래와 같은 구성으로 제작이 가능하며 상기제품과 같이 자기장을 상쇄시킵니다.

(PE(나일론선)+열선(코일)+실리콘 고무(적색) 피복+석도금동선(편조)+실리콘 고무(적색) 피복)

 

1. 무자계 열선( 7.4Ω/m )

가 격 :

   20M : 20,000원

   40M : 38,000원   

  *운송비는 착불 지급입니다.

*재고는 상기 두가지입니다. 

~~~~~~~~~~~~~~~~~~~~~~~~~~~~~~~~~~~~~~~~~~~

2. 무자계 열선( 7.6Ω/m )

가 격 :

   30M: 29,000원

   40M : 38,000원 

   50M : 47,000원

   100M : 92,000원

  150M: 137,000원

   *운송비는 착불 지급입니다.

~~~~~~~~~~~~~~~~~~~~~~~~~~~~~~~~~~~~~~~~~~~

재고 소진시 최소 2,000m 발주

( TeL: 031-434-0322  : 재고는 수시로 파악하여 수정되지만, 발주 전에 재고 확인 바랍니다.

 Mobile: 010-8424-0323: 기술 문의는 언제든지 환영합니다.)

~~~~~~~~~~~~~~~~~~~~~~~~~~~~~~~~~~~~~~~~~~~

 

바. G/B-계열

G/B열선 종류

G/B 열선은 따로 재고 가격은 아래 주소에 있습니다.

크릭하세요.

G/B 열선 :: (주) 쌍희- 열선,특수선 (tistory.com)

 

G/B 열선

열 선 ( SILICON HEATER WIRE ) (여기를 크릭하시면) 다른 저항의 열선들도 볼 수 있슴니다. 문의: 이종간: 010-8424-0323 (기술부 031-434-0322, 영업부: 031-434-0323) *상기 Bobbin(실패)에 감긴 양은 30M입니다. 구 성

ssanghee0320.tistory.com

 

품 목 : G/B 열선 ( 1.연선Type, 2.단심Type, 3.코일Type )

저 항 : 1.연선Type: 0.25, 0.4, 0.5, 0.7, 1.0, 1.5, 2.0, 3.0, 4.0, 5.0, 6.0, 7.0, 8.0, 9.0, 10, 12, 13, 14, 25 Ω/M

         2.단심Type: 0.93, 26, 30, 40, 50, 60, 70, 80 Ω/M

         3.코일Type: 90, 160, 19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Ω/M

 

  (G/B 열선은 저항이 다양하게 생산되어 있어서 테스트를 위한 열선 선정이 자유롭습니다.)  

     

~~~~~~~~~~~~~~~~~~~~~~~~~~~~~~~~~~~~~~~~~~~~~~~~

사. 석도 편조 G/B-계열

구조도

제품 사진

1.석도 편조 G/B 열선

 

품 목 : 석도 편조G/B 열선

 

구 성 :

   재 질 : CN-W3 단심(선경: 0.845 Ømm )

   피 복 : 열선+그라스 2중 횡권+실리콘 바니싱+그라스 편조+실리콘 바니싱+석도선 편조

   저 항 : 0.27 Ω/M

   외 경 : 3.50 Ømm

   특 성 : 저항이 낮아서 열선을 길게 사용하는 비닐하우스 보온등에 사용되며,

              외부에 석도금동선 편조는 전선을 갉아 대는 쥐나 해충에 강하고,

              열전달이 좋을 뿐 아니라 전자파 해소에도 유용하합니다.

 

가 격: 

    20M : 22,400원

    30M : 32,600원

    50M : 53,000원

    80M : 83,600원

   100M:104,000원

*운송비는 착불 지급입니다.)

~~~~~~~~~~~~~~~~~~~~~~~~~~~~~~~~~~~~~~~~~~~

아. Teflon-계열

Teflon 열선

1.TFHT-CH

 

품 목 : TFHT-CH

구 성 :

재 질 : Chromel 단심 ( 선경: 0.50 Ømm )

피 복 : 테프론 피복 ( 적색 )

저 항 : 3.28 Ω/M

외 경 : 1.0 Ømm

특 성 : 주로 외경이 가늘어야 하는 곳에 사용되며, 피복이 테프론으로 사용온도 200℃ 까지 사용한다.

테프론 피복이 질기고 내압에도 강하며, 비교적 얇은 피복은 열전달을 좋게 해준다.

가 격:

20M : 11,000원

30M : 15,500원

50M : 24,500원

80M : 38,000원

100M: 47,000원

*운송비는 착불 지급입니다.)

~~~~~~~~~~~~~~~~~~~~~~~~~~~~~~~~~~~~~~~~~~~

2. TFHT-AL

 

품 목 : TFHT-AL

구 성 :

재 질 : Alumel 단심 ( 선경: 0.52 Ømm )

피 복 : 테프론 피복 ( 백색 )

저 항 : 1.32 Ω/M

외 경 : 0.52 Ømm

특 성 : 주로 외경이 가늘어야 하는 곳에 사용되며, 피복이 테프론으로 사용온도 200℃ 까지 사용한다.

테프론 피복이 질기고 내압에도 강하며, 비교적 얇은 피복은 열전달을 좋게 해준다.

가 격:

20M : 12,000원

30M : 17,000원

50M : 27,000원

80M : 42,000원

100M: 52,000원

*운송비는 착불 지급입니다.

~~~~~~~~~~~~~~~~~~~~~~~~~~~~~~~~~~~~~~~~~

3.TFHT-CN1

 

품 목 : TFHT-CN1

 

구 성 :

재 질 : CN-W1 단심 ( 선경: 0.32 Ømm )

피 복 : 테프론 피복 ( 백색 )

저 항 : 6.12 Ω/M

외 경 : 0.50 Ømm

특 성 : 주로 외경이 가늘어야 하는 곳에 사용되며, 피복이 테프론으로 사용온도 200℃ 까지 사용한다.

테프론 피복이 질기고 내압에도 강하며, 비교적 얇은 피복은 열전달을 좋게 해준다.

 

*이 제품은 2,000M 이상 주문가능.

*운송비는 착불 지급입니다.

~~~~~~~~~~~~~~~~~~~~~~~~~~~~~~~~~~~~~~~~~~~~

 

자.  Teflon 전선

1. Teflon 전선

 

품 목 : Teflon 전선 (0.75SQ)

구 성 :

재 질 : 주석도금 동선 ( 선경: 0.18 ØmmX 30연선 )

저항: 0.09 Ω/m

피 복 : 테프론 피복 (청색 )

면 적 : 0.76 ㎟SQ

외 경 : 1.7 Ømm

특 성 : 주로 외경이 가늘어야 하는 곳에 사용되며, 피복이 테프론으로 사용온도 200℃ 까지 사용한다.

테프론 피복이 질기고 내압에도 강하다.

 

상기 테프론 전선 현재고는 소진되고 없습니다.

이 제품은 주문제작만 가능합니다.

~~~~~~~~~~~~~~~~~~~~~~~~~~~~~~~~~~~~~~~~~~

2. Ni-Teflon 전선

품 목 : Ni - Teflon

(1) Ni-Teflon 전선 (0.8SQ)

구 성 :

재 질 :니켈선 ( 선경: 0.38 ØmmX 7연선 )

저항: 0.20Ω/m

피 복 : 테프론 피복 ( 갈색 )

면 적 : 0.79 ㎟SQ

외 경 : 1.85 Ømm

특 성 : 니켈선을 사용하여 고온에서도 부식이 안되며,

주로 외경이 가늘어야 하는 곳에 사용되고,

테프론 피복은 질기고 내압에 강하며 사용온도가 200℃ 까지 사용하므로

주로 고온에 동력선으로 사용된다.

가 격:

20M : 13,000원

30M : 18,500원

50M : 29,500원

80M : 46,000원

100M: 57,000원

*운송비는 착불 지급입니다.

~~~~~~~~~~~~~~~~~~~~~~~~~~~~~~~~~~~~~~~~

(대량이 필요하신 분은 이종간 010-8424-0323 -화성공장 031-434-0322- 으로 연락주세요..)

 

(2) Ni-Teflon 전선 (0.9SQ)

구 성 :

재 질 :니켈선 ( 선경: 0.40 ØmmX 7연선 )

저항:  0.105Ω/m

피 복 : 테프론 피복 ( 흑색 )

면 적 : 0.88 ㎟SQ

외 경 : 2.00 Ømm

특 성 : 니켈선을 사용하여 고온에서도 부식이 안되며,

주로 외경이 가늘어야 하는 곳에 사용되고, 피복이 테프론으로 사용온도 200℃ 까지 사용한다.

테프론 피복이 질기고 내압에도 강하다.

 

가 격:

20M : 14,000원

30M : 20,000원

50M : 32,000원

80M : 50,000원

100M: 62,000원

*운송비는 착불 지급입니다.

(대량이 필요하신 분은 따로 연락주세요..)

~~~~~~~~~~~~~~~~~~~~~~~~~~~~~~~~~~~~~~~~~~~

 

온도 쎈서(써멀 프로텍터)

요구하시는 분이 많아서 MAX.50℃,MAX.65℃두가지를 판매합니다.

 

이 제품의 상세한 정보는 SEKI ST-22

모델 SEKI ST-22 SEKI ST-22
방식 직렬연결 직렬연결
온도 MAX, 50 ℃ MAX, 65 ℃
spec. 250V, 5A 250V, 5A
  120V, 8A 120V, 8A
가격 800원/EA 800원/EA

* 열선 구매자 분에게 당사 구매가로 판매되는 것이므로 이것만 따로 안 팝니다.

******************************************************************

휴 즈(Fuze)

요구하시는 분이 많아서 104℃용을 판매합니다.

 

가격: 700원/개

 

Model: DF104s (DF Series)

Spec: 125V-15A,250V-10A

 

이 제품의 상세한 정보는 thermtrol (☜ 크릭)를 참고하세요..

* 열선 구매자 분에게 당사 구매가로 판매되는 것이므로 이것만 따로 안 팝니다..

******************************************************************************

충전용 USB 케이블

모델: 2A용

길이: 1.5m

가격: 1,000원/EA

(주의: 전기 용량은 2A를 넘게 사용하지 마세요...)

* 이 제품은 단품 판매 가능합니다.

***************************************************************************

열선 선정에 필요한 계산 방법

 

1. 타 제품과 비교해서 열량 산출을 유추하는 방법은 기술자료  에서 제목이열선 계산 방법  ☜ 크릭 (2017년 7월 13일자 문서)를 참고해서 계산해 보세요. 

 

2. 온도를 올리는데 필요한 열량 공식들은 기술자료  에서 제목이 전기 에너지를 열에너지로 환산한 공식 ☜ 크릭 (2017년 7월 16일자 문서)를 참고 하세요.

(여기에 얼마의 저항이 얼마의 전력을 내는데 필요한 공식인 "오옴의 법칙"도 기술되어 있습니다.)

 

2 .열량 계산 방법은 좌측 카테고리 중에 기술자료  에서 제목이 각 물질의 승온에 필요한 열량 계산법  ☜ 크릭 (2018년 2월 1일자 문서)를 참고 하시고,

그곳에 흡수 에너지 계산 방법의 실 예를 기술해 놓았습니다.

 

(그밖에 히터에 대한 자료를 보시려면  기술자료  에서 찾아 보세요...)

참고 문헌

좌측 카테고리 중에

카메라성애제거히터 ☜크릭  또는 그밖에 제작품들... ☜크릭 하면,

실리콘히터를 이용한 여러가지 제작품들이 소개되어 있습니다.

다음은 실리콘 열선을 이용해서 히터패드를 만든 제품들입니다..

 

'┌ 피복 열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G/B 열선 팝니다.  (0) 2020.12.14
SUS & 석도 편조 G/B 열선  (0) 2020.12.14
Teflon 열선  (0) 2020.12.13
고무줄 히터  (0) 2019.03.07
무자계 열선이란?  (0) 2017.07.13

 

카메라 렌즈 성애제거 히터

(충전용 3.7 V Li-ion 밧데리를 기준으로 만들어 집니다.)

 

 

제작시 제품 모델명과 원둘레 (광각렌즈: 큰경,작은경),기장을 정확히 기록해서 주문요 .

제작했던 제품들은 모델명만 알려 주세요..주문하기 전에 먼저 그동안 작업 완료했던 성애제거 히터 들..☜크릭하세요. (바로 밑에 글)

 

 

 

 

1-A. 일반 렌즈 히터

 

일반 렌즈 히터: 25,000원(착불가)

 

1-B.광각 렌즈 히터 

 

광각 렌즈 히터: 30,000원(착불가)  

 

 

 

 

 

 

 

 

 

 

2.밧데리 홀더 (18340,18650, 26650, 32650, 밧데리 장착)

4구 짜리 : 26,000원(착불가)

 

(* 참고: 4구밧데리 충전기를 개조해서 만든 것임.)

 

 

 

 

 

 

 

 

 

 

3.밧데리 충전기

 

3-A. 밧데리 충전 홀더( 1개 장착,5Pin 핸드폰 충전기 장착 ): 3,500원(착불가) 

3-B.밧데리 충전기 ( 2개 장착, 110V,220V 겸용) :  14,000원(착불가) 

 

 

4.밧데리( 18650 리튬 이온)

 

4-A.국산 밧데리(3,000mA 리튬이온,삼성,안전회로 내장) :  6,500원/개(착불가) 


 

4-B.일제 밧데리(3,400mA 리튬이온, Panasonic,안전회로 내장): 10,000원/개(착불가) 

 

 

발열하여야 할 면적이 큰게 아니면 밧데리 하나로 약 45분~1시간 사용 가능합니다.

그러므로 사용하시는 사양에 맞게 구매시에  성애제거 히터+ 밧데리 (소요시간당 한개씩)+ 충전 홀더 나 충전기 등...

필요한 부분만 주문하시면 됩니다. 

~~~~~~~~~~~~~~~~~~~~~~~~~~~~~~~~~~~~~~~~~~~~~~~

 

또 다른 방법으로는 비상시에 핸드폰 충전을 위해 가지고 다니는 보조 밧데리를 사용하면 가능합니다.

(단, 용량이 제한적이라 열량이 작은 히터만 가능 함)

 

아래 사진은 성애 제거 히터에 보조 밧데리를 연결해 본 사진입니다.

 

제원은 아래 사진과 같이 연결 잭만 수정해서 히터에 연결할 수 있게 만들면 됩니다.

 

 

 

USB-성애제거연결잭(1m) : 5,000원

 

 

 기성품연결 잭: 2,000원

고무줄에 히터를 감아서 신축성이 필요한 곳에 히터를 장착할 수 있도록 제작된 히터입니다.




고무줄히터의 신축성을 보여주는 동영상


저항이 21Ω 이 나오네요..


이건 좀 굵은 선으로 되어선지 6.7Ω이 나옵니다.


그러나 굵은선이든 가는선이든 요구 저항대로 제작이 가능합니다.

'┌ 피복 열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G/B 열선 팝니다.  (0) 2020.12.14
SUS & 석도 편조 G/B 열선  (0) 2020.12.14
Teflon 열선  (0) 2020.12.13
실리콘히터 여러종류 소량판매(통합)  (0) 2019.07.14
무자계 열선이란?  (0) 2017.07.13
NCH-W1의 전류표
단위:  A
온도20030040050060070080090010001100
선경
0.10 0.280.370.450.520.590.680.780.880.981.07
0.110.310.420.50 0.580.670.770.881.00 1.101.20
0.120.350.460.560.640.740.861.00 1.10 1.231.35
0.130.380.50 0.610.710.820.951.091.221.381.50
0.140.420.550.670.780.90 1.051.20 1.341.50 1.65
0.150.450.590.730.840.981.121.30 1.461.631.80
0.160.490.640.790.911.061.231.40 1.60 1.791.98
0.180.560.740.921.061.251.421.621.85 2.00 2.30
0.20 0.640.841.051.211.421.631.852.10 2.40 2.60
0.23 0.761.00 1.251.451.70 1.90 2.20 2.50 2.80 3.20
0.26 0.881.131.451.70 2.00 2.30 2.60 2.90 3.30 3.70
0.29 1.00 1.30 1.651.90 2.30 2.60 3.00 3.40 3.80 4.30
0.32 1.131.451.862.20 2.60 2.90 3.40 3.90 4.40 4.90
0.35 1.261.60 2.10 2.50 2.90 3.30 3.70 4.30 4.80 5.50
0.40 1.50 1.922.50 2.90 3.40 3.90 4.50 5.20 5.90 6.70
0.45 1.752.30 2.90 3.30 4.00 4.60 5.20 5.90 6.70 7.60
0.50 2.00 2.60 3.40 3.80 4.60 5.30 6.30 7.10 8.20 9.20
0.55 2.30 2.90 3.80 4.30 5.20 6.00 7.00 8.00 9.20 10.5
0.60 2.50 3.20 4.20 4.80 5.80 6.80 7.80 9.00 10.312.0
0.65 2.80 3.60 4.70 5.40 6.50 7.50 8.70 10.0 11.613.2
0.70 3.00 3.90 5.10 5.90 7.10 8.30 9.70 11.0 12.914.7
0.75 3.30 4.30 5.60 6.50 7.80 9.00 10.712.414.0 16.0
0.80 3.50 4.70 6.10 7.00 8.50 10.0 11.813.515.517.5
0.85 3.90 5.10 6.60 7.70 9.30 10.812.814.817.0 19.3
0.90 4.10 5.50 7.10 8.20 10.0 11.814.0 16.0 18.221.0
1.00 4.70 6.10 8.00 9.40 11.5 13.515.5 17.5 20.0 23.0
1.10 5.20 7.00 9.00 10.813.0 15.418.2 21.0 24.0 27.0
1.20 5.90 7.80 10.511.814.0 16.120.0 23.0 27.0 31.0
1.30 6.40 8.70 11.313.316.2 19.0 23.0 26.0 30.0 35.0
1.40 7.00 9.50 12.514.618.0 21.0 26.0 29.0 34.0 39.0
1.50 7.60 10.413.616.0 19.5 23.0 28.0 32.0 37.0 42.0
1.60 8.20 11.3 15.0 17.521.0 26.0 31.0 35.0 41.0 46.0
1.80 9.70 13.217.321.0 25.0 30.0 33.0 42.0 48.0 55.0
2.00 11.0 15.0 20.0 24.0 29.0 35.0 41.0 49.0 56.0 64.0
2.30 13.2 18.124.0 29.0 35.0 42.0 52.0 60.0 69.0 79.0
2.60 15.5 22.0 28.0 34.0 42.0 50.0 62.0 72.0 83.0 93.0
2.90 18.8 26.0 34.0 40.0 49.0 59.0 72.0 84.0 98.0 111
3.20 22.0 30.0 39.0 46.0 57.0 68.0 83.0 98.0 114130
3.50 25.0 34.0 44.0 53.0 66.0 78.0 96.0 113130150
4.00 31.0 42.0 54.0 65.0 80.0 94.0 113133159180
4.50 36.0 50.0 64.0 77.0 94.0 115140160190215
5.00 43.0 59.0 75.0 90.0 112135164190220250
5.50 49.0 69.0 97.0 105130155190220255290
6.00 56.0 78.0 98.0 119147175210250290325
6.50 63.0 88.0 112135165198242282325365
7.00 71.0 99.0 125150180220270315360410
8.00 86.0 120150183225270325380440500









1. 히팅 케이블

 

히팅케이블이라 함은 전기를 주면 열이 발생하는 전선이란 뜻인데,

일반적인 열선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방바닥 시공 모습( 우리난방공사 시공)  


내 화학적이며, 수명이 오래가며, 유연성이 좋아 지면과 접촉력이 뛰어나서 결빙이나 동결부위에 직접 열을 가하므로 열전도도도가 높은 제품이기 때문에 경사면이나 계단등 시공이 용이치 않은 곳이라 해도 간단히 설치가 가능하다.

그리고 전원부에서 말단부까지 전 구간에 고루 발열되므로 원하는 열을 목적물에 균일하게 열이 전달된다.


히팅케이블은 품질에 따라 반영구적 시공이 용이하고 소음 및 기타 공해와 오염물이 발생 되지 않고
스팀이나 기타 열매 사용시보다 시설 및 유지보수 면에서 간결하며 비용이 적게 들어갑니다.

 

히팅케이블 난방방식은 비용이 많이 드는 대형 공조설비나 보일러실이 필요없이
효율적인 바닥난방이 가능하며 기름이나 가스 보일러를 설치,운영이 곤란한 경우 대체할 수 있습니다.


또한 쎈서와 콘트롤러를 사용하면 온도를 자동으로 조절이 가능하며,

이로인해 열효율 증가 뿐 아니라 불필요한 에너지낭비를 막을 수 있다.


~~~~~~~~~~~~~~~~~~~~~~~~~~~~~~~~~~~~~~~


그리고 그중에서 특수하게 제작된 것들이 있는데,

아래 두 가지의 경우이다.


 

2. 정온전선



 

일정 온도를 설정하여 제작되어진 히팅케이블을 정온전선이라고 하는데,

말 그대로 제작 시 설정된 온도를 그대로 유지하는 열선이다.


파이프나 용기의 온도에 따라 출력(발열량, Power Output)이 변화하는 케이블로써 무한 병렬 구조로 길이에 상관 없이 단위 m당 발열량이 일정하며,

주위 온도 변화에 따라 내부 저항을 스스로 제어하여 발열량을 자동적으로 증감시키도록 설계된 케이블입니다.  

다만 수명이 짧다,(물론 수명이 긴 것도 있지만, 워낙 고가이므로 선호하지는 안는다.)

특히 자주 움직이게 되는 부분에서는 수명은 현저히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그래서 이 열선으로 시공한 후 마감재를 사용하는 경우는 1~2년후 마감재를 뜯고 재시공해야 하는 불편이 따른다.

 

 

3. 정전력 히터 열선 


각 부위 마다 일정한 전기가 들어가서 히팅이 되는 열선을 정전력히팅케이블이라고 그냥 편하게 이름을 명명하게 된 것입니다.

 

소비전력이 1m당 30W 정도로 정온전선보다 2배 정도 높아 높은 열을 낼 수 있다.

또 수명도 길어서 재시공에서 벗어날 수 있다.


동파방지열선(정전력히터열선)은 1m간격으로 발열체가 병렬연결되어 열선의 사용 길이가 3m이상 시에  일부 발열체가 손상되어 단선이 나더라도 그부위에 속한 1m구간 만 발열이 안되고 나머지 손상되지 않은 부분은 계속적으로 발열이 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

 

상기 3가지 제품은 품질에 따라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므로 스팀이나 기타 발열매체 사용 시 보다 시공 및 시설유지 및 보수가 간결하다.

전기로의 전기 용량을 결정하는 공식


일반적으로 밀폐식 전기로에서는 아래 공식을 사용하게 됩니다.


상당히 복잡하죠???


그래서 간단하게 산출해 내는 도표가 있는데,

물론 정확하지는 않겠지만,

어느 정도로 전기용량이 필요하고, 그에 따른 열선의 총저항을 결정할 수 있는 도표이기도 합니다.



밀폐식 전기로의 전기 용량 계산 도표


예제: 전기로내 유효면적이 15㎡ 인 전기로를 700℃까지 5시간 30분내로 상승시키고져 할 때

         전기로의 전력량이 얼마가 필요한가를 아래 도표에서 찾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A; 로내 유효면적( ㎡ )

B: 전력 용량 ( kw )

C: 온도 상승시간 ( Hr )

D: 요구되는 로내 온도 ( ℃ )

E: 상수를 위한 교차선

M: 교차점


1. A선상에서 15㎡지점을 D선상에 700℃ 지점까지 선을 그어서 교차선인 E선상에서 M점을 찾아 낸다.

2. C선상에서 5.5시간 지점과 M 점을 연결해서 B선상까지 선을 긋게되면,

   요구하는 전기용량이  82 Kw 가 구해지는 것을 알 수가 있다.


발췌문헌: 전기 화학 15권(일본), 전기공학 편람(일본), 금속 제 21권(11.12호)(일본)


실리콘 히터 사용 예


3상 3선식 결선방법에 따른 전열선 전기용량(전력량)



예1:  5Ω 짜리 열선을 △결선으로 체결하여

       아래 그림과 같이 3상  220V 의 전력을 체결했을 때 총 전력량은 얼마일까요?



상 전압은 선간 전압과 같은 220V이므로

오옴의 법칙인 V (전압)= I (전류)X R (저항) 에 적용하면 전류는 44Amper 가 나오고,

또 다른 오옴의 법칙인 W (전력)= I (전류) X V (전압) 에 대입하면 9,680W(9.68KW )가 나온다.

고로 3상의 전력은 9.68KW  X 3 = 29.04 KW 가 나온다.




예2:  5Ω 짜리 열선을 Y결선으로 체결하여

       아래 그림과 같이 3상 380V의 전력을 체결했을 때 총 전력량은 얼마일까요?


상 전압은 선간 전압 380V에 √3 으로 나누면 약 220V가 된다.

오옴의 법칙인 V (전압)= I (전류)X R (저항) 에 적용하면 전류는 44Amper 가 나오고,

또 다른 오옴의 법칙인 W (전력)= I (전류) X V (전압) 에 대입하면 9,680W(9.68KW )가 나온다.

고로 3상의 전력은 9.68KW  X 3 = 29.04 KW 가 나온다.



고로, 예1과 예2를 볼 때 3상 전압이 380V라고 해도 Y결선으로 체결하면,

3상 전압 220V△결선으로 체결한 것과  동일한 전력을 발생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예3: 220V에 열선을 △결선으로 체결하여

      아래 그림과 같이  각각 5KW (총 15KW )로 하였을때 각각의 전류와 저항은 얼마일까요?

마찬가지로 오옴의 법칙인  

W (전력)= I (전류) X V (전압) (즉,  I = W / V ) , 

 V (전압)= I (전류)X R (저항)  (즉, R = V / I )에  적용하면  

 

 각 상의 전류 (상전류) : 5,000 W / 220 V = 22.7 A

 각 상의 저항 (상저항) : 220 V / 22.7 A = 9.68  Ω   이 됩니다.


* 참고: 만일 이것을 Y결선으로 바꾸어 체결하면 각 상의 전력 (상전력) 은  5 KW / 3 = 1.67 KW 가 되겠지요...


(주)쌍희 연구실

(예)  전압 220V에서 총 전력이 1.1KW(1,100W) 을 낼 수 있는 전열선을 구하고져 하는데,

        열선은 FCH-W2( 전기 저항율:125 μΩcm) 0.65 Φmm를 사용하였다면,

        선재 길이는 몇m인가를 계산하는 방법: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우선 전류(A)를 계산하는 공식인 "오옴의 법칙" : W(전력)=I(전류)X V(전압) 에 대입하면

전류는 5A가 나옵니다.

5A와 220V에 선을 그어 X1 점선에 닿는 점 M1 에서 선경 0.65mm와 연결하여 X2 점선과 만나는 점 M2에서

FCH-W2의 전기 저항율125 μΩcm인 부분과 선을 그어 나가면 요구되는 선재길이를 추정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것은 도표상에 정확한 위치를 설정하지 못하기 때문에 정확한 길이를 찾아 낼 수 없기 때문에 단지 처음 열선 설계시 빠르게 선재길이를 추정하기위한 방법으로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도표 출처: NTK(日金工) 카탈로그


보다 정확한 열선의 기장을 구하고져 한다면,


위에서 오옴의 법칙으로 전류는 5A 임을 확인했고,

또 다른 오옴의 법칙의 공식  V(전압)= I(전류) X R(저항)에 대입하면 총저항은 44Ω이 산출 됩니다.

그런데 열선을 FCH-W2을 사용하고 그 선경을  0.65 Φmm로 설정하였다면

FCH-W2 0.65 Φmm선경의 저항은 3.769 Ω/m(쌍희 제품 기준)이므로

44Ω÷3.769 Ω/m= 11.67m가 산출되어 집니다.


위 도표로 산출되는 기장은 약 9.5m인데

이것을 역산하면 약 1.35Kw로 애초에 제시된 열량보다 더 많은 열량이 나오게 됩니다.


출처: (주 ) 쌍희 연구실

쌍희영문.pdf
8.92MB

 

 



 

                                    열선 직렬연결및 병렬연결시 총 저항







열량 계산 방법

어떤 물체에 열을 가하여 온도를 올릴 때는 일정한 공식이 적용되는데,

열역학이 기초가 되어 아주 방대하므로 여기서는 다루지 않고,

단지 간단히 에너지를  계산하는 공식 몇가지만 올리겠습니다.


우선 열열학의 법칙은 알아야겠지에 간단히 기술하면,


열역학 제 1 법칙 : 모든 에너지는 완전히 존재한다,

                              즉, 우주에너지는 일정하다.

열역학 제 2 법칙 : 일정량의 에너지를 얻어서 이것을 완전한 역학적 에너지로 전환시키는 기관은

                              만들 수 없다.

열역학 제 3 법칙 : 절대 영도에 도달하는 것,

                              즉, 엔트로비 값이 0 (Zoro ) 이 되는 것은 불가하다.



1. 흡수 에너지


접촉하고있는 두 물체간에 온도 차이로 인해 한쪽에서 다른 쪽으로 이동되는 에너지를 "열" 또는 "열에너지"라고 부르며,

이 열량의 단위를 칼로리(cal),킬로칼로리(Kcal)라고 합니다.

예를 들자면 지구 상에 가장 흔한  물질 중에 하나인 물 1g을 1도 올릴 때 필요한 열량을 1 cal 라고 규정하여 단위로 사용하고 있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그 열용량 즉 흡수에너지는 같은 물질에서는 그 질량(무게)에 비례하고,

또 어떤 물질 1g을 1℃ 올리는데 필요한 열량을 "비열" 이라고 합니다.


여기서 잠깐,

전력량인 시간당 1W는 1Wh로 표기되는데,

1Wh는 859.845의 cal를 발산하므로 통상 860cal로 계산하게 되어서,

1Wh= 860cal 라고 합니다.

참고로 얘기하면

기름의 발열량은 ℓ당 10,300 ㎉

LNG 가스는 ㎥당 10,500 ㎉

LPG 가스는 ㎏당 12,000 ㎉

전기는 ㎾당 860 ㎉ 정도로 계산하는것이 일반적 입니다..


그럼 어떤 물질을 일정한 온도까지 승온시키는데 필요한 전력량을 계산하려면

다음과 같다.


Q=m X c X (t2 - t1)이고,

Wh=m X c X (t2 - t1) /860 입니다.


Q : 흡수에너지 ( cal )

m : 물질의 무게 ( g )

c :  물질의 비열 ( cal )

t2 : 도달 온도 (℃ )

t1 : 시작 온도 ( ℃ )

* 이 공식은 열을 올릴때 사용되는 공식이며,


  각각의 물질에 따라 열전달 계수 즉, 비열은 다음과 같습니다..


물질에 따른 비열의 차이


물질비열 cal/(g·K)물질  비열 cal/(g·K)
           1    얼음      0.5
    구리   0.0924    나무     0.41
         0.107    유리      0.2
         0.056   알코올     0.58
        0.0309    수은    0.033
        0.0305  알루미늄    0.215
   금강석    0.121         0.0309
염화나트륨    0.206    황동     0.091
    백금    0.0316   우라늄     0.027



예: 15g의 황동으로 된 물체의 온도를 100℃ 올리는 데 필요한 열량은?

      위 표에 의하면 황동의 비열은 0.091㎈/g·℃이므로,

       15g × 0.091㎈/g·℃ × 100℃  ≒ 137(cal)가 된다.


출처: 위키백과 



2. 잠열


어떤 물질이든지 고체를 액체로 변화시키거나 액체를 기체로 변화 시킬때는 일정한 온도에서  일어나는데,

그 온도를 용융점(녹는점),기화점(고체가 바로 기체로 변화되는 것은 승화라고 함)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이 온도에서 가해지는 열은 변태를 위한 분자의 운동에너지로 모두 소모되기 때문에 물체의 온도를 올리지 못하게 됩니다.

다시말해서 일정 온도의 고체 (또는 액체)를  같은 온도의 액체 (또는 기체)로 변화시키는데 필요한 에너지를 융해 잠열(Hf) 또는 기화 잠열(Hv),승화 잠열이라고 합니다.

이것을 우리는 통상 "융해열" (또는 "기화열", "승화열") 이라고도 하는데, 

아래와 같은 공식이 적용됩니다.


융해열 Q = m X Hf


기화열 Q= m X Hv


Q : 융해(기화) 에너지 (cal )

M : 물질의 무게 (g )

Hf : 물질의 융해 잠열 ( cal/g )

Hv : 물질의 기화 잠열 ( cal/g )


* 이 공식은 금속을 녹이는 용광로 나 냉동된 물체의 해빙이 필요한 경우이거나,

  특히 물을 수증기로 바꾸거나, 건조기 같은 경우와 같이 수분증발이 필요한 경우 이용되며,

  가장 많이 적용되는 물의 경우는 Hf 는 80 cal/cc(g) 이고 Hv 는 539 cal/cc(g) 입니다.    



3. 열 손실 에너지

 

위와 같이 흡수에너지와 잠열 말고도 주변으로 열이 손실되는 에너지를 합해야 만 온도를 올리는데 필요한 총 열량이 산출됩니다.

하지만 "열효율"라고 해서 전체 에너지에 비례로 계산하게 됩니다.  


총 에너지=(흡수 에너지+ 잠열+ 열손실에너지) X 1.1~1.3

또는

총에너지= (흡수 에너지+잠열) X 열효율 X 1.1~1.3

로 계산되어 집니다.

* 통상 총 에너지 산출시에 안전계수 1.1~1.3 을 더 곱하게 됩니다.


이 손실 에너지는 열이 손실되지 않도록 단열을 잘하면 낮아지겠지만,

그렇지 않으면 공급된 에너지의 대부분이 손실되어 버립니다.

그리고 또 단열재의 재질, 두께 등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이 부분은 방대하고 복잡하여 따로  공부하거나 자료를 찾지 않으면 안되며,

그런 자료가 없다면 직접 테스트를 하여  손실 에너지를 찾는 방법 뿐이 없습니다.  


* 전 개인적으로 필요한 제품을 만들때:

  열선을 생각보다 길게하여서 전원을 공급해 보고,

  열량이 생각보다 적게 나오면 조금씩 길이를 짧게 잘라내면서 테스트를 해서 찾아냅니다.

  (열선의 길이가 길면 열량이 적게 나오고, 짧으면 짧아 질수록 열량은 증가 합니다.)   



4. 승온에 필요한 간단한 전력량 계산법

 아래 공식은 WATLOW 사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 철강류 (Steel)을 가할때 전기용량

  KW= Kg (중량) X 상승온도(℃) ÷ ( 5,040  X 승온 시간(Hr) )


* 기름류 (Oil)을  가할때 전기용량 

  KW= L(리터) X 상승온도(℃) ÷ ( 1,680  X 승온 시간(Hr) )


* 흐르는 물을 가할때 전기용량

  KW= L/min(유속) X 상승온도(℃)  X  0.076


* 정체된 물을 가할때 전디용량

  KW= L(리터) X 상승온도(℃) ÷ ( 790 X 승온 시간(Hr) )


* 공기를 가할때 전기용량

  KW= ㎥(체적)/Min X 상승온도(℃) ÷ 47

  ( 이때는 상용온도와 대기압일 경우를 말하며,여기서 ㎥/Min는 루베라고 합니다.)


* 압축공기를 가할때 전기용량

  KW= ㎥(체적)/Min X 상승온도(℃) X  비중(kg/) ÷ 57.5

  ( 이때의 ㎥/Min는 입구 온도와 압력에서 측정한 용량입니다. )


출처: WATLOW 사 자료


(주) 쌍희


GC계열 구조도


GC계열의 열선은 저항이 높은 것을 요구시에 사용되므로 열선 자체가 가늘거니와

P.E사 또는 Glass사에 열선을 감아서 Coil상태로 제작하여 열선 길이를 길게 만드는 방법입니다.

그런데 이선이 워낙 가늘다 보니 동력선과 직접 체결시에는 체결시 압착에 의해 끊어지거나 사용 중에 체결부위가 끊어지는 경우가 발생하기 쉽습니다.

그래서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체결하면 이런 문제 점을 해결 할 수 있습니다. 


1.외피를 벗기면 가는 선이 코일형태로 나옵니다.

2, 이선을 펴서 열선 외부에 3~4바퀴 감는다.

3. 실리콘 열선 외경에 맞는 단자를 준비합니다.

4.단자를 체결하고 빠지지 않게 단자를 압착합니다.


1. 1.0Φmm이상의 선재


   Hard선일 경우는 600Φmm Coil 상태이며,

   Soft 선일 경우는 400Φmm Coil 상태입니다.


   선재의 표면을 보호하기 위해서 랩 또는 마포Tape로 감아서 포장을 합니다.


2. 1.0Φmm 이하의 선재


   대부분이 Bobbin( 실패, Spool )에 감기게 되는데,

   각각의 선재경의 굵기에 의해 Bobbin이 결정 됩니다.


  Bobbin에 권취되는 양 


'└기술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각 물질의 승온에 필요한 열량 계산법  (0) 2018.02.01
코일열선(GC 계열) 단자 체결 방법   (0) 2017.12.27
경도 비교표   (0) 2017.07.17
단위 환산표  (0) 2017.07.17
열처리 방법  (0) 2017.07.17

코일 열선

 

이미 코일화된 제품으로 사용자가 필요한 코일 외경만 맞다면 저항치 만큼 잘라서 사용하기 편한 제품입니다.

(저항이 기존 제품보다 적은 것은 잘라서 사용 가능)

 

* 각 사이즈별 판매 가격 *

 

1. NCH-W1 코일

품목: NCH-W1 

선경: 1.0 mmΦ

외경: 9.5 mmΦ

길이: 510mm(수축된 상태)

총저항: 17.6 Ω

판매가: 12,000원/개

현재고: 95개 (소진되면 판매 종료합니다.)

 

2. NCH-W1 코일

품목 : NCH-W1 (Aging 완료됨)

선경: 0.9 mmΦ

외경: 3.6 mmΦ

길이: 730mm(수축된 상태)

총저항: 12.0 Ω

판매가: 6,000원/개

현재고: 21개 (소진되면 판매 종료합니다.)

 

3. FCH-W2 코일

품목 : FCH-W2 (Aging 완료됨)

선경: 1.29 mmΦ

외경: 11.0 mmΦ

길이: 1100mm (수축된 상태)

총저항: 26.2 Ω

판매가: 20,000원/개

현재고: 1개 (소진되면 판매 종료합니다.)

 

3-1. FCH-W2 코일

품목 : FCH-W2 (Aging 완료됨)

선경: 1.29 mmΦ(흑색피막)

외경: 11.0 mmΦ

길이: 1100mm 

총저항: 26.2 Ω

판매가: 20,000원/개

현재고: 17개 (소진되면 판매 종료합니다.)

 

4. FCH-W2 코일

품목 : FCH-W2 (Aging 완료됨)

선경: 1.0 mmΦ

외경: 5.0 mmΦ

길이: 3300mm (수축된 상태)

총저항: 62 Ω

판매가: 16,000원/개

현재고: 33개 (소진되면 판매 종료합니다.)

 

5. FCH-W2 코일

품목 : FCH-W2 (Aging 완료됨)

선경: 0.9 mmΦ

외경: 5.0 mmΦ

길이: 2650mm (수축된 상태)

총저항: 64.3 Ω

판매가: 11,000원/개

현재고: 25개 (소진되면 판매 종료합니다.)

6. FCH-W1 코일

선풍기형 전기난로 열선

선풍기형 전기난로에 사용되는 열선으로 철크롬 고온급 열선이므로,

발열시에 처지는 현상이 없다.

 

재질 : FCH-W1 (Aging 완료됨)

선경: 0.45 mmΦ

외경: 3.9 mmΦ

길이: 282mm (수축된 상태)

총저항: 65 Ω

판매가: 3,000원/개

현재고: 290개 (소진되면 판매 종료합니다.)

 

7. FCH-W2 코일

품목 : FCH-W2 (Aging 완료됨)

선경: 0.8 mmΦ 

외경: 10.0 mmΦ

길이: 460mm (수축된 상태)

총저항: 21.0Ω

판매가: 2,500원/개

현재고: 1개 (소진되면 판매 종료합니다.)

~~~~~~~~~~~~~~~~~~~~~~~~~~~~~~~~~~

*상기 제품 구매나 문의사항이 있으시면 010-8424-0323(이종간)으로 연락하세요*

참고:

이 제품에 대한 제원(사용용도,사용온도,신율,강도,사용방법 등..)을 알고져 할 때는

같은 메뉴인 전열선(니크롬,철크롬) 에 제목이   전열선의 개 (☜크릭)라는 글에서 "열선 저항표"를 참고 하세요.

 

전열선의 개요

 

blog.daum.net

 

 

+ Recent posts